반응형
1. Pick Your Battles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Pick Your Battles"입니다. 이 표현은 모든 문제에 대응하지 말고, 중요하거나 이길 가능성이 있는 문제에만 집중하라는 의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논쟁을 피하고 중요한 과제에 집중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2. 의미"Pick Your Battles"는 "싸움을 선택하라", 즉 "모든 문제에 대응하기보다는 중요한 것에만 집중하라"는 뜻입니다. 팀원 간의 논쟁, 업무 우선순위 설정, 혹은 프로젝트 관리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예:"모든 요구사항을 구현할 필요는 없어요.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기능에 집중합시다."→ "We don’t need to implement every requirement. Let’s..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5년 한국 대기업 임원들의 연봉 현황과 특히 삼성그룹의 변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발표된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대기업 임원들의 연봉 실태와 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대기업 임원과 직원의 연봉 격차2025년 현재, 한국의 20대 그룹 임원과 직원의 평균 연봉 격차는 약 11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재벌닷컴이 분석한 결과 임원의 평균 보수는 10억9110만원인 반면, 직원의 평균 연봉은 9960만원에 그쳤습니다.이러한 격차는 기업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곳은 신세계그룹으로, 임원과 직원의 연봉 차이가 무려 19.3배에 달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삼성그룹(18.9배), CJ그룹(17.1배), LG그룹..
1. Under the Hood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Under the Hood"입니다. 이 표현은 시스템 내부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이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기술적 세부 사항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술적 구현에 대해 깊이 살펴볼 때 자주 사용됩니다.2. 의미"Under the Hood"는 자동차 엔진 후드 아래를 들여다본다는 비유에서 나온 표현으로,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내부 구조나 동작 원리"를 의미합니다.예:"이 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고 싶다면 내부를 살펴보세요."→ "If you want to understand how this app works, take a look under the hood."3. 어원이 표현은 자동차에서 유래된 것으로, 후드..
1. Smoke and Mirrors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Smoke and Mirrors"입니다. 이 표현은 현혹시키기 위한 겉모습이나 허상, 또는 실체가 없는 과장된 표현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제품이나 기능이 실제보다 과대포장되었거나 실질적인 내용이 부족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2. 의미"Smoke and Mirrors"는 "연기와 거울", 즉 "진실을 숨기고 속이기 위한 수단"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본질보다는 겉모습이나 허상을 강조해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상황을 묘사합니다.예:"그 데모는 잘 만들어진 겉모습뿐이고, 실제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That demo was all smoke and mirrors; the product doesn’t actually work yet."3...
이제 시리즈를 마무리할 시점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선형대수, FFT, ODE/PDE 솔버, FEM 기초, GPU 가속, 병렬 처리, 자동미분(AD), 최적화, 머신러닝 기본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뤄보며 러스트로 과학 계산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가능성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금까지 다룬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발전 방향과 러스트 생태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 링크와 리소스를 소개하겠습니다.시리즈 정리선형대수와 기본 연산:Rust의 안전성, Cargo 빌드 시스템, 제네릭과 trait 활용으로 Vector/Matrix 구조, LU/QR 분해, SVD 개념 도입예: nalgebra, ndarray 등의 라이브러리 참고고급 수치 기법:ODE, PDE 해석(유한차분법, FEM 기초), FFT를..
1. Pull the Plug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Pull the Plug"입니다. 이 표현은 프로젝트나 계획을 중단하다, 또는 지원이나 자원을 끊다는 의미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프로젝트의 실효성이 없어 종료 결정을 내릴 때 자주 사용됩니다.2. 의미"Pull the Plug"는 "플러그를 뽑다", 즉 "계획을 중단하거나 종료하다"는 뜻입니다. 이는 더 이상 프로젝트나 작업을 지속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될 때 사용됩니다.예:"이 프로젝트는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단하는 게 좋겠어요."→ "This project isn’t delivering as expected. It’s time to pull the plug."3. 어원이 표현은 병원에서 생명 유지 장치의 플러그를 뽑아 치료를 종료..
이전까지의 글에서 우리는 선형대수, FFT, ODE/PDE 풀이, FEM 기초, GPU 가속, 병렬 처리 등 다양한 수학·과학 계산 기법을 러스트로 구현하고 고성능화하는 가능성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는 **자동미분(Automatic Differentiation, AD)**과 최적화 알고리즘, 나아가 머신러닝(ML)의 기본 구조를 다루며, 러스트 기반 수학 라이브러리를 머신러닝 분야로 확장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 다룰 주제들:자동미분(AD): 함수의 기울기(Gradient)·야코비안(Jacobian)·헤시안(Hessian)을 기호적 변화 없이 자동으로 계산하는 기법.최적화 알고리즘(Gradient Descent, Newton Method 등): 파라미터를 조정해 목표 함수를 최소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