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Code Freeze"입니다. "Code Freeze"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더 이상의 신규 기능 추가나 큰 변화 없이, 코드를 현재 상태로 '얼려둔다(freeze)'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 시점부터는 품질 안정화, 버그 수정, 테스트 등의 작업에 집중하여, 릴리즈 전에 코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1. 의미"Code Freeze"는 새로운 기능 개발을 멈추고, 현재 코드 상태를 안정화하는 기간을 뜻합니다. 이 기간 동안 개발팀은 코드 변경을 최소화하고, 제품 품질 유지나 개선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치에만 집중합니다. 이를 통해 릴리즈 직전, 예측 불가능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제품 출시에 기여합니다.예:"다음 주 Code Freeze 기간까지 모든 ..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Regression Testing"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Regression Testing"은 기존에 동작하던 기능이 새로운 코드 변경, 패치, 또는 업데이트로 인해 예상치 못하게 망가졌는지(Regression) 확인하는 테스트 활동을 의미합니다. 즉, "회귀(Regression)"라는 단어처럼, 과거 정상 동작했던 부분이 되돌아가(퇴보하여) 문제가 생기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1. 의미"Regression Testing"은 새로운 기능 추가나 코드 수정 후에도 기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테스트를 뜻합니다. 이는 변화가 전체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미 해결된 버그가 다시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데에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예:"이번..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Smoke Test"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Smoke Test"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빠르게 점검하는 초기 테스트 단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마치 전자제품을 처음 켜보고 불길한 연기(smoke)가 나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테스트 이전에 시스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빠르게 진단하여, 더 깊은 테스트나 개발 작업을 진행할지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1. 의미"Smoke Test"는 핵심 기능이나 필수적인 부분들이 최소한의 수준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기본 진단 테스트'를 가리킵니다. 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더 상세한 테스트로 넘어가지 않고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합니다.예:"새 빌드를 받아서 바로 Sm..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Dry Run"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Dry Run"은 실제 코드나 시스템을 실행하기 전에, 계획된 절차나 알고리즘을 논리적으로 검증하거나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즉,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 없이 "마른(건식) 시동"을 걸어보는 것처럼, 문제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개선 기회를 찾는 방법입니다.1. 의미"Dry Run"은 물리적 행동이나 실제 실행 없이, 절차나 로직을 가상의 형태로 따라가며 오류나 개선점, 예외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를 통해 버그나 논리적 결함을 일찍 발견할 수 있어, 실제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예:"코드를 완전히 실행하기 전에 Dry Run을 통해 알고리즘 로직을 검토하고, 예측치 못한 동작을..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Scalability"입니다. "Scalability"는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인프라가 부하 증가나 사용량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고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작은 규모로 시작한 서비스가 사용자나 데이터가 늘어날 때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원활하게 확대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1. 의미"Scalability"는 "확장성"을 뜻하며, 시스템이 더 많은 사용자, 데이터, 트랜잭션을 처리하거나 기능을 추가해도 성능 저하 없이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하드웨어 자원 추가, 아키텍처 조정, 코드 최적화 등을 통해 달성할 수 있습니다.예:"우리의 서비스는 매달 사용자가 2배씩 늘고 있으니, Scalability를 확보하기 위해 아키텍처를 재..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