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Test-Driven Development (TDD)"입니다. "Test-Driven Development"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기능 구현 전에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해당 테스트를 통과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코드를 구현한 뒤, 리팩토링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 품질 향상과 불필요한 기능 개발 방지, 유지보수성 확보 등 다양한 이점을 노릴 수 있습니다.1. 의미TDD는 "테스트 우선 개발"로 번역할 수 있으며,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기대하는 동작을 테스트로 먼저 정의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로만 코드를 구현한 뒤, 코드를 정리(리팩토링)하는 사이클을 따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코드의 목적과 품질을 검증하며, 필요한 기능만 정..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Fail Fast"입니다. "Fail Fast"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가능한 한 초기에 드러내고, 빠르게 실패(Fail)하여 그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개선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즉, 오류나 결함이 뒤늦게 드러나서 큰 피해를 주기보다, 초기에 문제를 노출시켜 빠르게 수정하여 장기적으로 품질과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 방식입니다.1. 의미"Fail Fast"는 가능한 빨리 문제를 감지하고, 이를 미루지 않고 즉시 해결함으로써, 이후 더 큰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원칙입니다. 이는 초기 단계에서 버그나 설계 결함을 잡아내면 수정 비용이 적게 들고, 프로젝트 일정이나 품질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예:"우리는 자동화 테스트를 통해 작은 이..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YAGNI (You Ain’t Gonna Need It)"입니다. "YAGNI"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미래에 필요할 것 같은 기능을 미리 구현하지 말라는 원칙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즉, 실제 요구사항으로 확인되지 않은 추측이나 가정을 기반으로 코드를 추가하지 않고, 당장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 구현하라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1. 의미"YAGNI"는 "너는 그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거야(You Ain’t Gonna Need It)"라는 문장에서 앞 글자를 딴 축약어로, 개발자가 '나중에 필요할지 모른다'는 가정 아래 불필요한 기능을 미리 넣는 습관을 막기 위한 원칙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를 단순하게 유지하고, 낭비되는 시간과 리소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예:"데이터를 암호화..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Happy Path"입니다. "Happy Path"는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이 아무런 오류나 예외 상황 없이 원활하게 동작하는 이상적인 시나리오를 뜻하는 표현입니다. 즉, 사용자가 기대한 대로, 계획한 대로 모든 것이 문제없이 진행되는 최상의 경우를 가리키며, 테스트나 시연 과정에서 자주 언급됩니다.1. 의미"Happy Path"는 '행복한 경로'라는 뜻 그대로, 번거롭거나 예외적인 상황 없이 순탄하게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기본 흐름, 정상 입력, 정상 동작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할 때 자주 사용되며, 이 경로를 따라가면 기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예:"이 테스트 케이스는 Happy Path만 다루고 있어서, 오류 처리는 확인 못하고 있..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Cowboy Coding"입니다. "Cowboy Coding"은 계획 없이 즉흥적이고 자유롭게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 문화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카우보이가 넓은 평원을 제멋대로 달리는 모습을 연상시킵니다. 이는 어떤 명확한 프로세스나 기준, 문서화 없이 개발자가 자신의 즉흥적인 판단에 따라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하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나타낸 용어입니다.1. 의미"Cowboy Coding"은 사전 기획이나 구조화된 절차 없이, 문제 정의나 요구사항 분석도 충분치 않은 상태에서 '바로 코드부터 짜고 보자'는 접근 방식을 뜻합니다. 이로 인해 코드는 종종 일관성 없는 스타일, 예측 불가능한 품질, 부족한 테스트 커버리지 등으로 이어지며, 장기적 유지보수나 팀 협업에 문제가 생깁니다.예:"이..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Big Ball of Mud"입니다. "Big Ball of Mud"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또는 코드베이스가 명확한 구조나 패턴 없이 뒤엉켜 있어, 커다란 진흙 덩어리(Ball of Mud)처럼 혼란스럽고 관리하기 어려운 상태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즉, 시스템 전반이 일관성 없는 설계, 임시 방편적 코드, 누적된 기술 부채로 인해 이해하기 어렵고 확장하기 곤란한 상태를 의미합니다.1. 의미"Big Ball of Mud" 아키텍처는 정규화나 계층화, 모듈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시스템 전반이 '아무렇게나' 얽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새로운 기능 추가나 버그 수정이 어려워지고, 변경 한 번에 여러 곳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는 악순환에 빠지기 쉽습니다.예:"이 코드..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Hype-Driven Development"입니다. "Hype-Driven Development"는 기술 선택 또는 아키텍처 결정 시에, 실제 필요성보다는 시장의 유행(Hype)이나 최신 트렌드에 지나치게 휘둘리는 개발 문화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즉, 문제 해결에 적합한 도구를 고르는 대신, '멋져 보이거나 핫한' 기술을 먼저 채택하고 나중에 그에 맞춰 문제를 정당화하는 뒤바뀐 접근 방식을 꼬집은 표현입니다.1. 의미"Hype-Driven Development"는 인기 있는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언어, 아키텍처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왜 그것을 쓰는지 충분히 고민하지 않은 채 의사결정을 내리는 상황을 뜻합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는 불필요한 복잡성, 과도한 학습 곡선, 장기..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God Object"입니다. "God Object"는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하나의 클래스나 객체가 지나치게 많은 책임과 기능을 떠안고, 시스템의 여러 측면을 관장하는 '신(God)과 같은' 범용 객체를 의미합니다. 즉,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듯이, 이 객체는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관리하려 하며, 결국 코드 구조를 복잡하고 유지보수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표적인 안티패턴입니다.1. 의미"God Object"는 단일 책임 원칙(SRP)에 정면으로 반하는 상황입니다. 한 객체에 지나치게 많은 데이터와 로직이 몰려 있어,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이 객체는 점점 무거워지고, 수정이나 확장 시 다른 부분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코드 이해도를 떨어뜨리고, 팀 생산성을 ..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Golden Hammer"입니다. "Golden Hammer"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만병통치약처럼 하나의 기술, 툴, 패턴, 방법론만을 무조건적으로 선호하고, 모든 문제에 동일한 해법을 적용하려는 태도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말 그대로 '금으로 된 망치(Golden Hammer)'가 있어서 마치 모든 문제가 못 박기처럼 보이는 상황을 풍자한 것입니다.1. 의미"Golden Hammer"는 특정 기술이나 아키텍처 패턴에 지나치게 집착해, 실제로는 다른 접근법이 더 합리적인 상황에서도 무조건 그 익숙한 방법을 사용하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는 다양한 문제 해결 능력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코드 품질과 팀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예:"이 팀은 언제나 마이크로서비..
이번에 소개할 표현은 "Heisenbug"입니다. "Heisenbug"는 소프트웨어 테스트나 디버깅 과정에서 나타나는, 관측하기 어려운 특이한 버그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버그는 물리학의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관찰(또는 디버깅 도구를 사용)하려고 하면 증상이 사라지거나 달라져서 문제를 파악하기 힘든 버그를 의미합니다.1. 의미"Heisenbug"는 특정 조건에서만 발생하고, 디버깅이나 로깅을 강화하면 이상하게도 문제가 재현되지 않는 버그입니다. 즉, 관측 행위(코드 변경, 로그 추가, 디버거 접속) 자체가 버그의 상태에 영향을 미쳐, 원인을 파악하고 수정하기 더욱 까다로운 상황을 묘사합니다.예:"이 코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