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일곱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컴파일 타임 상수 표현식을 더욱 엄격하게 제어할 수 있는 consteval과 constinit 키워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consteval과 constinit이란 무엇인가요?C++20에서는 컴파일 타임 상수 계산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해 consteval과 constinit 키워드가 도입되었습니다.consteval: 함수를 컴파일 타임 상수 표현식으로만 평가되도록 강제합니다.constinit: 변수가 컴파일 타임 초기화되도록 보장합니다.이를 통해 상수 표현식과 관련된 버그를 방지하고, 코드의 안전성과 명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왜 consteval과 constinit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모던 CMake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C++ 프로젝트 빌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계속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방법과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외부 라이브러리 포함하기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CMake의 find_package() 명령어를 활용하여 해당 라이브러리를 찾고 연결할 수 있습니다.find_package() 사용법find_package(LibraryName REQUIRED)LibraryName: 찾고자 하는 라이브러리의 이름입니다.REQUIRED: 라이브러리를 찾지 못하면 빌드를 중단합니다.예제: Boost 라이브러리 포함find_package(Boost 1.71.0 REQUIRED..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여섯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조체와 클래스를 더욱 편리하게 초기화할 수 있는 지정 초기화자(Designated Initializer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지정 초기화자(Designated Initializers)란 무엇인가요?지정 초기화자는 C++20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구조체나 클래스의 멤버를 초기화할 때 멤버의 이름을 지정하여 초기화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C99에서 도입된 지정 초기화자를 C++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복잡한 객체 초기화를 더욱 명확하고 간결하게 할 수 있습니다.왜 지정 초기화자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구조체나 클래스 초기화는 멤버의 순서에 의존하며, 모든 멤버를 정확한 순서대로 초..
모던 CMake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C++ 프로젝트 빌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계속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타겟 기반 구성의 심화 내용과 라이브러리의 의존성 관리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타겟 기반 구성의 중요성모던 CMake에서는 타겟(target)을 중심으로 빌드 설정을 관리합니다. 이는 빌드 대상(executable, library 등)에 직접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설정의 명확성과 재사용성을 높입니다.타겟 프로퍼티 설정타겟에 속성을 부여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target_include_directories()target_compile_definitions()target_compile_options()target_link_libraries()각 명령어는 타겟에 특정 속..
모던 CMake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C++ 프로젝트 빌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계속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 표준 버전 설정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각 방법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설명하겠습니다.C++ 표준 버전 설정의 중요성C++ 언어는 C++11, C++14, C++17, C++20 등 지속적으로 새로운 표준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C++ 표준 버전을 명시적으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코드 호환성 보장: 팀원 간 동일한 언어 기능을 사용하여 일관성 있는 코드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컴파일러 최적화: 컴파일러가 표준에 맞는 최적화를 적용하여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미래 대비: 최신 표준을 사용하여 최신 언어 기능과 라이브러리를 활용..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드의 구조와 컴파일 시간을 개선해 줄 모듈(Module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모듈(Modules)이란 무엇인가요?모듈은 C++20에서 도입된 새로운 컴파일 및 코드 조직화 방식으로, 기존의 헤더 파일과 전처리기 매커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모듈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간을 단축하고, 코드의 의존성을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왜 모듈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헤더 파일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중복 컴파일: 동일한 헤더 파일이 여러 번 포함되면서 컴파일 시간이 늘어납니다.전처리기 의존성: 매크로와 같은 전처리기 기능이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의존성 관리의 어려..
모던 CMake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C++ 프로젝트 빌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Make의 기본 개념과 모던 CMake의 장점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CMake란 무엇인가?CMake는 크로스 플랫폼 빌드 시스템으로, 다양한 컴파일러와 플랫폼에서 소프트웨어를 빌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개발자는 CMake를 사용하여 복잡한 빌드 설정을 간소화하고, 코드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전통적인 CMake와 모던 CMake의 차이점과거의 CMake 스크립트는 절차지향적이고 변수 설정이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웠습니다. 반면, 모던 CMake는 타겟 기반의 구성을 지향하며, 인터페이스와 의존성 관리가 용이해졌습니다.전통적인 CMake 예시# 전통적인 방법add_defin..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네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협업적인 작업을 더욱 쉽게 만들어 줄 코루틴(Coroutine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코루틴(Coroutines)이란 무엇인가요?코루틴은 함수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나중에 다시 재개할 수 있는 특별한 형태의 함수입니다. 이는 비동기 프로그래밍, 제너레이터, 이터레이터 등을 구현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코루틴을 사용하면 복잡한 상태 관리나 콜백 함수 없이도 자연스럽게 비동기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왜 코루틴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콜백 지옥이나 복잡한 상태 머신을 만들게 되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이 떨어졌습니다. 코루틴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세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드의 가독성과 효율성을 높여줄 범위(Ranges) 라이브러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Ranges란 무엇인가요?C++20에서 도입된 Ranges 라이브러리는 기존의 반복자(iterator) 기반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보다 선언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시퀀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작업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왜 Ranges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STL 알고리즘은 반복자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지정해야 했습니다. 이는 코드가 장황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Ranges를 사용하면 컨테이너 자체를 알..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두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템플릿 프로그래밍을 더욱 강력하고 유연하게 만들어 줄 개념(Concept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Concepts란 무엇인가요?Concepts는 C++20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템플릿 매개변수에 대한 제약 사항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템플릿 코드를 더욱 안전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왜 Concepts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템플릿 코드는 컴파일 타임 에러 메시지가 난해하고 길어서 디버깅이 어려웠습니다. Concepts를 사용하면 템플릿 매개변수에 대한 명확한 제약을 지정할 수 있어, 컴파일 타임 에러를 줄이고 더 이해하기 쉬운 에러 메시지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