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23에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템플릿 프로그래밍을 더욱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deducing this 기능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educing this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버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deducing this란 무엇인가요?C++23에서 도입된 deducing this는 멤버 함수의 첫 번째 매개변수로 this 포인터를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추론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멤버 함수를 템플릿화하거나, const 및 volatile 속성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함수 오버로딩을 단순화하고,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이전 버전에서는 어떻게 했나요?C++23 이전에는 멤버 함수의 this 포인터가 암시적으로 전..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두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템플릿 프로그래밍을 더욱 강력하고 유연하게 만들어 줄 개념(Concept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Concepts란 무엇인가요?Concepts는 C++20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템플릿 매개변수에 대한 제약 사항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템플릿 코드를 더욱 안전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왜 Concepts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템플릿 코드는 컴파일 타임 에러 메시지가 난해하고 길어서 디버깅이 어려웠습니다. Concepts를 사용하면 템플릿 매개변수에 대한 명확한 제약을 지정할 수 있어, 컴파일 타임 에러를 줄이고 더 이해하기 쉬운 에러 메시지를 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