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글들에서 우리는 파이썬 itertools의 다양한 기능—range, enumerate, zip, map, filter, chain, takewhile, dropwhile, accumulate, groupby—를 C++에서도 나름 “파이썬스럽게” 구현하거나 표현하는 방법을 두루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itertools의 대표적인 조합론적(iteration over combinations) 함수들인 product, permutations, combinations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 함수들은 파이썬에서 꽤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product([1,2],[3,4])는 (1,3), (1,4), (2,3), (2,4)를 만들어내고, permutations([1,2,3], 2)는 (1,2..
여러분, 지난 글들에서 우리는 C++에서 파이썬의 range, enumerate, zip, map, filter, chain, takewhile, dropwhile 등을 흉내 내는 방법을 쭉 살펴봤죠. 이제는 또 다른 파이썬 itertools의 매력적인 부분으로 넘어가려고 합니다. 바로 accumulate(파이썬 itertools의 accumulate), 그리고 groupby입니다. accumulate는 요소들을 순회하면서 누적 합이나, 누적 연산 결과를 차곡차곡 모아줍니다. 파이썬에서는 itertools.accumulate([1,2,3,4], operator.mul) 이렇게 사용해 곱셈 누적을, operator.add를 사용해 합 누적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C++에도 std::accumulate라..
앞선 글들에서 우리는 파이썬의 range, enumerate, zip, map, filter와 같은 편리한 함수형 API를 C++20/23 문법과 Ranges 라이브러리 등을 통해 “파이썬스럽게”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파이썬의 itertools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몇 가지 대표적인 툴을 C++ 스타일로 흉내 내보려 합니다. itertools는 파이썬에서 반복 가능한(iterable) 시퀀스를 다루는 데 매우 유용한 툴셋을 제공합니다. 그중에서도 chain, takewhile, dropwhile는 다양한 컨테이너나 이터러블을 직관적이고 유연하게 다룰 수 있게 해줍니다.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일반적인 C++ 구현 (Before): 파이썬 chain, t..
앞선 글들에서 우리는 파이썬의 range, enumerate, zip와 유사한 C++ 구현 방식을 살펴보았습니다. 파이썬의 직관적 문법을 C++20/23의 언어와 라이브러리 기능들을 통해 비교적 쉽게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했죠.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함수형 스타일의 API인 map과 filter를 C++에서 어떻게 “파이썬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지 다뤄보겠습니다. 파이썬의 map(function, iterable), filter(predicate, iterable)를 C++20/23에서 비슷한 느낌으로 쓸 수 있다면, 복잡한 로직을 더 간결하고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일반적인 C++ 구현 (Before): 람다, std::transform, std::..
지난 글에서 우리는 파이썬의 range, enumerate를 C++20/23 스타일로 구현해보며 파이썬스러운 간결성과 C++의 성능을 결합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또 하나의 유용한 함수 zip을 다뤄보겠습니다.파이썬의 zip은 여러 이터러블(리스트, 튜플 등)을 병렬로 순회하며 각 원소를 튜플로 묶어 돌려줍니다. 예를 들어:for x, y in zip([1,2,3], ['a','b','c']): print(x, y)이렇게 하면 (1, 'a'), (2, 'b'), (3, 'c') 순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C++에서 이와 비슷한 기능을 구현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C++17 이전에는 주로 인덱스를 수동 관리하거나, Boost 라이브러리를 쓰거나, 범위 기반 f..
C++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파이썬의 range, enumerate 같은 직관적이고 깔끔한 반복 구문이 부러울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r i in range(10)라고만 쓰면 0부터 9까지 편하게 순회할 수 있고, for idx, val in enumerate(obj)로 인덱스와 값을 동시에 받아오는 문법은 가독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C++17, C++20, C++23에 걸쳐 제공되는 기능들을 활용해 파이썬스러운 API를 구현하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 예제와 성능, 유연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일반적인 C++ 구현 (Before)기존 C++ 스타일로 인덱스와 값을 처리하는 방식.단순한 Python 같은 C++ 구현 (After: 첫 단추)C++17에서도 ..
C++23에서는 범위(Range) 라이브러리를 더욱 강력하고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뷰(View) 어댑터가 추가되었습니다. 그중 하나인 std::views::stride는 입력 범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원소를 선택하여 부분 범위를 구성하는 뷰 어댑터입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1,2,3,4,5,6,7,8] 범위에서 stride(3)를 적용하면 [1,4,7]와 같이 매 3번째 원소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d::views::stride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방식과 비교하여 어떠한 개선점을 제공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td::views::stride란 무엇인가요?std::views::stride(n)는 입력 범위에서 시작 원소를 포함해 매 n번째 원소를 선택하는 뷰 어댑터입..
C++23에서는 표준 라이브러리에 std::spanstream 계열의 클래스 템플릿이 추가되어, 메모리 상의 연속 구역(spans)을 스트림처럼 다룰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std::stringstream를 통해 문자열 기반 버퍼를 다루었다면, 이제는 std::span을 이용하여 메모리 버퍼를 입출력 스트림으로 다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에 대해 스트림 연산을 간편히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d::spanstream, std::ispanstream, std::ospanstream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방식과 비교하여 어떤 점이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std::spanstream란 무엇인가요?C++23에서 추가된 헤더에..
C++23에서는 범위(Range) 라이브러리를 풍성하게 하는 새로운 뷰(View) 어댑터들이 다양하게 추가되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std::views::split_when 인데, 이 뷰 어댑터는 std::views::split와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단순한 구분 문자나 구분 값이 아닌 **사용자 정의 조건자(predicate)**에 따라 범위를 동적으로 분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유연하게 범위를 나누고, 특정 패턴이나 조건을 만족하는 지점마다 분리하는 로직을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d::views::split_when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방식과 비교하여 어떤 점이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std::views::split_when란 무엇인가..
C++23에서는 범위(Range) 라이브러리에 편의성과 가독성을 높이는 유용한 알고리즘들이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std::ranges::starts_with, std::ranges::ends_with, std::ranges::contains 세 가지 함수는 시퀀스를 다룰 때 흔히 필요한 패턴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문자열이나 컨테이너에서 특정 접두사/접미사 존재 여부나 특정 원소 포함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d::ranges::starts_with, std::ranges::ends_with, std::ranges::contains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버전과 비교하여 어떤 점이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std::r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