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20에서는 열거형(enum)을 더욱 편리하고 가독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using enum 구문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using enum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버전에서의 접근 방식과 비교하여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using enum이란 무엇인가요?using enum 구문은 열거형의 멤버들을 현재 범위(scope)로 가져와서 이름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열거형의 멤버를 사용할 때 매번 열거형 이름을 명시하지 않아도 되어 코드의 가독성과 편의성이 향상됩니다.이전 버전에서는 어떻게 했나요?C++11부터는 enum class를 사용하여 강력한 형식의 열거형을 정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열거형 멤버를 사용할 때마다 열거형의 이름..
C++20에서는 std::span을 통해 배열과 컨테이너를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d::span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이전 버전에서의 접근 방식과 비교하여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td::span이란 무엇인가요?std::span은 C++20에서 도입된 객체로, 연속적인 메모리 블록을 나타내는 뷰(view)입니다. 이는 배열이나 std::vector와 같은 컨테이너의 요소들을 복사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참조할 수 있게 해줍니다. std::span은 템플릿 클래스이며, 타입과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이전 버전에서는 어떻게 했나요?C++20 이전에는 함수에 배열이나 컨테이너를 전달할 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했습니다:1. 포인터와 길이를 ..
C++20에서는 람다 표현식(lambda expressions)이 더욱 강력해지고 유연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선된 람다 캡처(Lambda Capture)와 관련된 새로운 기능들을 살펴보겠습니다.개선된 람다 캡처란?C++11에서 도입된 람다 표현식은 익명 함수 객체를 생성하여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기존의 람다 캡처 방식에서는 [=], [&], [this] 등의 캡처 모드를 사용했습니다. C++20에서는 람다 캡처가 더욱 개선되어, [=, this], [*this]와 같은 새로운 캡처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람다 표현식 내에서 멤버 변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this]를 사용한 객체 복사 캡처기존의 문제점기존의 [=] 또는 [this] 캡처 방식..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여덟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자열 포맷팅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줄 std::format 라이브러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std::format이란 무엇인가요?C++20에서 도입된 std::format 라이브러리는 문자열을 포맷팅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C++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Python의 f-string이나 format() 함수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왜 std::format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문자열 포맷팅 방식인 printf 계열 함수나 std::ostringstream 등을 사용할 때는 타입 안전성이나 가독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습니다. std..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일곱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컴파일 타임 상수 표현식을 더욱 엄격하게 제어할 수 있는 consteval과 constinit 키워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consteval과 constinit이란 무엇인가요?C++20에서는 컴파일 타임 상수 계산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기 위해 consteval과 constinit 키워드가 도입되었습니다.consteval: 함수를 컴파일 타임 상수 표현식으로만 평가되도록 강제합니다.constinit: 변수가 컴파일 타임 초기화되도록 보장합니다.이를 통해 상수 표현식과 관련된 버그를 방지하고, 코드의 안전성과 명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왜 consteval과 constinit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여섯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조체와 클래스를 더욱 편리하게 초기화할 수 있는 지정 초기화자(Designated Initializer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지정 초기화자(Designated Initializers)란 무엇인가요?지정 초기화자는 C++20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구조체나 클래스의 멤버를 초기화할 때 멤버의 이름을 지정하여 초기화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C99에서 도입된 지정 초기화자를 C++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복잡한 객체 초기화를 더욱 명확하고 간결하게 할 수 있습니다.왜 지정 초기화자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구조체나 클래스 초기화는 멤버의 순서에 의존하며, 모든 멤버를 정확한 순서대로 초..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드의 구조와 컴파일 시간을 개선해 줄 모듈(Module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모듈(Modules)이란 무엇인가요?모듈은 C++20에서 도입된 새로운 컴파일 및 코드 조직화 방식으로, 기존의 헤더 파일과 전처리기 매커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모듈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간을 단축하고, 코드의 의존성을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왜 모듈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헤더 파일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중복 컴파일: 동일한 헤더 파일이 여러 번 포함되면서 컴파일 시간이 늘어납니다.전처리기 의존성: 매크로와 같은 전처리기 기능이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의존성 관리의 어려..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네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협업적인 작업을 더욱 쉽게 만들어 줄 코루틴(Coroutine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코루틴(Coroutines)이란 무엇인가요?코루틴은 함수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나중에 다시 재개할 수 있는 특별한 형태의 함수입니다. 이는 비동기 프로그래밍, 제너레이터, 이터레이터 등을 구현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코루틴을 사용하면 복잡한 상태 관리나 콜백 함수 없이도 자연스럽게 비동기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왜 코루틴을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콜백 지옥이나 복잡한 상태 머신을 만들게 되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이 떨어졌습니다. 코루틴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세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드의 가독성과 효율성을 높여줄 범위(Ranges) 라이브러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Ranges란 무엇인가요?C++20에서 도입된 Ranges 라이브러리는 기존의 반복자(iterator) 기반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보다 선언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시퀀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복잡한 데이터 처리 작업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왜 Ranges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STL 알고리즘은 반복자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지정해야 했습니다. 이는 코드가 장황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Ranges를 사용하면 컨테이너 자체를 알..
C++20의 새로운 기능들을 소개하는 시리즈의 두 번째 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템플릿 프로그래밍을 더욱 강력하고 유연하게 만들어 줄 개념(Concept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Concepts란 무엇인가요?Concepts는 C++20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템플릿 매개변수에 대한 제약 사항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템플릿 코드를 더욱 안전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왜 Concepts를 사용해야 할까요?기존의 템플릿 코드는 컴파일 타임 에러 메시지가 난해하고 길어서 디버깅이 어려웠습니다. Concepts를 사용하면 템플릿 매개변수에 대한 명확한 제약을 지정할 수 있어, 컴파일 타임 에러를 줄이고 더 이해하기 쉬운 에러 메시지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