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한 간단한 To-Do 리스트 REST API를 구현하며, 러스트 생태계를 활용한 웹 개발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증(Authorization)과 토큰 기반 인증(JWT)을 적용해, 좀 더 실전적이고 안전한 REST API를 만들어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발급받은 토큰(JWT)을 사용해 권한이 필요한 API에 접근하는 패턴을 익힐 수 있습니다.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JWT 발급 및 검증: 사용자가 로그인 시도 시 JWT를 발급하고, 이후 요청 시 해당 토큰을 헤더에 담아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패턴 구현비밀번호 해싱(BCrypt) 및 보안 처리: 사용자 정보(아이디, 비밀번호) 관리 시 평문 비밀번호 대신 해싱 처리Actix..
이전 글에서는 Actix-web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간단한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며, HTTP 요청 처리와 JSON 응답, 비동기 패턴 등을 익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해 간단한 REST API를 구축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백엔드 서비스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데이터베이스 연동: SQLite 등 간단한 로컬 DB를 연계, CRUD(생성, 읽기, 업데이트, 삭제) 중 일부를 구현해 실전적인 REST API 구조를 익힙니다.SQLx 크레이트 활용: Rust 비동기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인 sqlx를 사용해 비동기 DB 접근을 구현합니다.마이그레이션(Migration) & 스키마 정의: ..
이전 글에서는 러스트를 활용해 간단한 CLI 유틸리티를 만들며, 명령행 인자 파싱, 파일 시스템 접근, 에러 처리, 테스트, 패키징 등을 체험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CLI 범위를 벗어나,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구현해보며 러스트 생태계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강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간단한 HTTP 서버 구현: 기본적인 HTTP 요청을 받아 “Hello, world!” 혹은 간단한 JSON 응답을 반환하는 서버를 만들어봅니다.Actix-web 프레임워크 사용: 러스트 생태계의 대표적인 웹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Actix-web을 통해 라우팅, 핸들러 작성, 응답 처리 방법을 익힙니다.비동기/async 지원 이해: 비동기 IO 모델을 활용해 효율적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